고독을 즐기는 진정한 아웃사이더
linux kernel 2.6.x 에서 한글키 인식 본문
linux kernel 2.6.x에서 한영/한자키를 인식하게 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하면 되겠습니다.
핵심은 커널 패치하고 컴파일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죠.
# setkeycodes 71 122
# setkeycodes 72 123
그럼 이제 커널에서는 한영/한자키를 인식하고 출력하니까 X에서 설정만 추가하면 됩니다.
$ xmodmap -e ’keycode 122 = Hangul’
$ xmodmap -e ’keycode 121 = Hangul_Hanja’
이렇게 실행하면 한영키와 한자키가 정상 작동합니다 :)
참고로 X에서 항상 설정하고 싶다면 $HOME/.Xmodmap 파일에 다음과 같이 써놓으면 되겠죠.
keycode 122 = Hangul
keycode 121 = Hangul_Hanja
--MORE--
Debian Sid, kernel-image-2.6.8-1-686 에서 테스트했습니다
ps) Fedora를 사용하신다면
keycode 210 = Hangul
keycode 209 = Hangul_Hanja
로 하십시오, 워낙에 많은 분들이 키코드가 다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셔서 여기에 덧붙여 둡니다.
November 12, 2004 10:44 AM
TrackBack URL: http://people.kldp.org/~krisna/blog/trackback.php?blogid=364
http://barosl.com/baroblog/index.php?pl=200
커널 패치 없이 한영키 쓰기!
커널 패치 없이 한영키 쓰기! krisna's weblog 에서 퍼온 글입니다. 루트 권한으로 다음을 실행합니다: # setkeycodes 71 122 # setkeycodes 72 123 그다음 xev 를 실행시켜 보면, 커널 패치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한영키가 122, 한자키가 121 로 인식됩니다! 시스템 시작시에 항상 이 명령이 실행되도록 해 놓는 것이 좋겠죠? 그럼 이제 늘 하던대로 xmodmap 만 먹이면 됩니다. ;) $ xmodmap -e 'keycode 122 = Hangul' $ xmodmap -e 'keycode 121 = Hangul_Hanja' 흐흐... 굉장한 팁이군요... 커널 패치의 번거로움이 하나 줄겠네요... ^^
Comments
On November 12, 2004 02:28 PM, 민우 said:
좋은 팁 감사합니다. (_ _) 데비안 게시판에 적어놨는데 괜찮겠죠?
On November 12, 2004 05:07 PM, krisna said:
괜찮습니다 :)
On November 13, 2004 11:53 PM, kaos said:
동아리에 퍼갈께요 ^^;;
On November 14, 2004 09:40 PM, 태권브이 said:
정말 감사합니다. 전이미 컴파일해서 쓰고 있어서 페도라커널로 올리나깐 잘 됩니다. 감사합니다.
키코드만 알면 된다니... - -;; ( - -);;
감사합니다. 꾸벅
On November 15, 2004 05:08 AM, oseb said:
좋은 팁이군요.
제가 가진 키보드는 Hangul/Hanja가 210/209군요. xev로 확인하고 적용했습니다.
On November 15, 2004 10:06 PM, 저기요 said:
# setkeycodes 71 122
# setkeycodes 72 123
핵심은 커널 패치하고 컴파일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죠.
# setkeycodes 71 122
# setkeycodes 72 123
그럼 이제 커널에서는 한영/한자키를 인식하고 출력하니까 X에서 설정만 추가하면 됩니다.
$ xmodmap -e ’keycode 122 = Hangul’
$ xmodmap -e ’keycode 121 = Hangul_Hanja’
이렇게 실행하면 한영키와 한자키가 정상 작동합니다 :)
참고로 X에서 항상 설정하고 싶다면 $HOME/.Xmodmap 파일에 다음과 같이 써놓으면 되겠죠.
keycode 122 = Hangul
keycode 121 = Hangul_Hanja
--MORE--
Debian Sid, kernel-image-2.6.8-1-686 에서 테스트했습니다
ps) Fedora를 사용하신다면
keycode 210 = Hangul
keycode 209 = Hangul_Hanja
로 하십시오, 워낙에 많은 분들이 키코드가 다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셔서 여기에 덧붙여 둡니다.
November 12, 2004 10:44 AM
TrackBack URL: http://people.kldp.org/~krisna/blog/trackback.php?blogid=364
http://barosl.com/baroblog/index.php?pl=200
커널 패치 없이 한영키 쓰기!
커널 패치 없이 한영키 쓰기! krisna's weblog 에서 퍼온 글입니다. 루트 권한으로 다음을 실행합니다: # setkeycodes 71 122 # setkeycodes 72 123 그다음 xev 를 실행시켜 보면, 커널 패치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한영키가 122, 한자키가 121 로 인식됩니다! 시스템 시작시에 항상 이 명령이 실행되도록 해 놓는 것이 좋겠죠? 그럼 이제 늘 하던대로 xmodmap 만 먹이면 됩니다. ;) $ xmodmap -e 'keycode 122 = Hangul' $ xmodmap -e 'keycode 121 = Hangul_Hanja' 흐흐... 굉장한 팁이군요... 커널 패치의 번거로움이 하나 줄겠네요... ^^
Comments
On November 12, 2004 02:28 PM, 민우 said:
좋은 팁 감사합니다. (_ _) 데비안 게시판에 적어놨는데 괜찮겠죠?
On November 12, 2004 05:07 PM, krisna said:
괜찮습니다 :)
On November 13, 2004 11:53 PM, kaos said:
동아리에 퍼갈께요 ^^;;
On November 14, 2004 09:40 PM, 태권브이 said:
정말 감사합니다. 전이미 컴파일해서 쓰고 있어서 페도라커널로 올리나깐 잘 됩니다. 감사합니다.
키코드만 알면 된다니... - -;; ( - -);;
감사합니다. 꾸벅
On November 15, 2004 05:08 AM, oseb said:
좋은 팁이군요.
제가 가진 키보드는 Hangul/Hanja가 210/209군요. xev로 확인하고 적용했습니다.
On November 15, 2004 10:06 PM, 저기요 said:
# setkeycodes 71 122
# setkeycodes 72 123
'Computer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nd 로 찾아서 recursive 하게 삭제 (0) | 2005.05.25 |
---|---|
일정 시간마다 명령어 실행하기 (0) | 2005.05.23 |
디렉토리들의 디스크 사용량 알기 - du -s ./*/ (0) | 2005.01.13 |
초간단 srpm 다루기 (0) | 2005.01.13 |
CDROM 마운트와 마운트해제 (0) | 2005.01.03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