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omputer/Etc. (23)
고독을 즐기는 진정한 아웃사이더
Standard Edition (1~4 CPU Socket을 장착한 시스템) 1) per Named - xxx,000원/User - Named 산정시 1 CPU당 10 User 기본 - cpu * users (ex, 2 cpu x 10 user = 20) - 웹서비스 불가 2) per Processor - xx,xxx,000원/Processor - 웹서비스 가능 3) Oracle Standard Edition 5User - x,xxx,000원 (1 CPU Windows,linux 국한) Enterprise Edition (5~ CPU Socket을 장착한 시스템) 1) per Named - x,xxx,000원/User - Named 산정시 1 CPU당 25 User 기본 - 웹서비스 불가 2) per P..
넷피아와 디지털네임즈 비교 자료 출처: RGNAMES
3년간 분할 납부로 가볍게, Open License Value 프로그램 발표 한국마이크로소프트는 대기업 라이센스인 EA(Enterprise Agreement)에만 부여하던 각종 혜택을 대부분 받으면서, 3년 동안 분할 납부가 가능한 Open License Value 프로그램을 새롭게 발표했습니다. 이제 해당 기업들은 초기 비용부담이 줄어듬은 물론, 계획적인 예산 편성이 가능해 보다 수월하게 자금 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비즈니스 변화 혹은 새로운 제품이나 버전이 필요할 경우 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저렴하게 사내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점도 이점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Open License Value 프로그램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Microso..
Microsoft MVP (Most Valuable People) 이 모여서 활동하는 웹사이트 입니다. 각기 자산의 웹사이트를 갖고 전문분야에 대한 FAQ 를 게시하고 있습니다. Microsoft 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KB 에서 찾을 수 없는 다양한 팁을 조금더 간편하게 접근할수 있습니다. 주소는.... http://www.mvps.org/
아.. 정말 감동적입니다. 이런 노가다를 하다니. 그것도 O'Reilly 사에서.. 1954년의 포트란에서부터 지금까지 거의 모든(?) 프로그래밍 랭귀지의 계보를 한장으로 정리해낸 역작입니다. 필요한 분은 PDF로 다운로드 받으세요. 다운로드: http://www.oreilly.com/news/graphics/prog_lang_poster.pdf
) 왜 리눅스를 배우고 싶은지 이유를 분명히 하라. 리눅스 커뮤니티의 유래와 역사를 배우라. 2) 첫 한달 동안 성취하고 싶은 것을 나열하라. 3) 문서, 문서, 문서. 컴퓨터에서 무슨 일을 했는지 기록을 남겨라. 4) 뜻밖의 것을 배웠을 때 그 멋진 기억을 기록하라. 5) 영리한 방법으로 질문하라. 6) 가능하다면 장기적으로 리눅스를 사용할 컴퓨터를 배정하라. 7) 당신은 스킬을 확장하는 과정에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라. 8) 모든 운영체제는 완벽하지 않다는 사실을 명심하라. 어떤 것은 다른 어떤 것보다 좀 나을 뿐이다. 9) 머리를 쓰라. 어떤 것을 어떻게 하는지 모른다고 해서 그 일을 할 수 없는 건 아니다. 10) 리눅스는 곧 커뮤니티다. 지적할 문제가 있다면 머뭇거리지 말고 나서라. 11) 나서기..
switch 장비에는 managed 와 unmanaged 가 있으며 가격 차이가 상당합니다. 3com 기업용 제품을 예로 들면 24 port unmanaged 제품이 30만원 아래에서 구매 가능한 반면에, 48 port managed 제품은 300만원이나 합니다. port 수를 고려한다고 하더라도 대략 5배의 가격 차이가 납니다. 그럼 managed 와 unmanaged 의 가격차이는 어디에서 오는걸까요. managed switch 는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습니다. Telnet 접속과 web 접속을 지원합니다. (관리자 접속) SNMP 을 지원합니다. 포트별 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 특정 포트로 트래픽을 밀어주는 미러링 기능을 지원하기도 합니다 VLAN 구성이 가능하기도 합니다 unmanaged swi..
RAID Level RAID Level은 Data Recording 방식에 따라 구분되며, 제각기 독자성을 유지하므로 높은 Level이 낮은 Level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Level을 지정 0, 1, 0+1, 3, 5 가 가장 일반적이다. 각 Level은 비용과 속도에 대한 상반되는 요구를 절충하여 각기 다른 방법으로 여러 드라이브 사이에 데이터를 분산시킨다. RAID Level 0_Data Striping Data를 Parity없이 구성, Disk에 분산및 기록 Data 처리속도 탁월 Data의 복구기능이 없슴 처리중인 업무용 데이타의 임시저장 용도 : 빠른 입출력 속도가 요구되나 장애 복구 능력은 필요없는 경우에 적합 RAID Level 1_Dis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