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omputer/Etc. (23)
고독을 즐기는 진정한 아웃사이더
윈도우 1.0 버전부터 윈도우 XP 버전까지의 스크린샷을 모아 놓은 사이트 입니다. 윈도우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보여주고 있습니다. 목록은... Windows 1.01 Windows 2.0 Windows 286 Windows 3.0 Windows 3.1 Windows 3.11 Windows 95 Windows 98 Windows NT 3.1 Windows NT 3.51 Windows NT 4.0 Windows 2000 Windows Me Windows XP (참고로 저는 윈도우 3.0 정도부터 쓴거 같네요) 링크: http://www.infosatellite.com/news/2001/10/a251001windowshistory_screenshots.html
사설망을 쓰면서 외부에 접속되는 IP 가 알고 싶다면... whatismyip.com 에 접속하면 됩니다. 자신이 사용하는 공식 IP 주소를 알려줍니다. http://www.whatismyip.com/
한글시디를 가지고 놀다가 우연히 발견한 팁입니다. 2002로 해봤습니다. xp와2k에서 해봤습니다. 다만 시디가 있어야 됩니다. -_-; 설치할 시간이 없어 아주 급하시거나 설치안된 피시에서 한글을 설치하지 않고 잠깐 쓸때 아주 편리합니다. 피시방등에서 한글 작업할때 편하겠죠? 방법 1.시디를 집어넣는다 2.시디넣은 드라이브의 hnc폴더 아래의 hwp폴더를 클릭한다. 3. hwp폴더내의 hncsetup파일을 클릭하여 다음다음->마침을 한후 4.hwp폴더내의 hwp.exe파일을 실행시킨다. 그러면 놀라운 일이 일어납니다. 한글이 실행되며..모든 기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집니다. 당연히 시디키는 물어보지도 않습니다.
국가사이버안전센터, 정보보호생활수칙 발표 "백신 소프트웨어의 실시간 감시기능을 반드시 사용하고, PC 부팅과 화면보호기에 패스워드를 적용하세요." 국가사이버안전센터가 국가 및 공공기관, 개인사용자의 개인정보 유출방지 및 안전한 인터넷 사용을 위한 정보보호 생활수칙을 13일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생활수칙은 최근 기술의 발달과 함께 사용자들의 성향을 이용한 사이버 침해사고가 늘어남에 따라 지난해 7월 제정했던 정보보호 생활수칙을 개정, 재권고 한 것이다. 다음은 국가사이버안전센터가 발표한 11가지 정보보호 생활수칙. △자동 업데이트가 가능한 백신 소프트웨어 설치 및 실시간 감시기능 사용 △출처, 첨부파일 등이 의심스러운 전자우편은 열람하지 말고 삭제 △정기, 비정기적인 윈도 보안 패치 실시(MS 정기 보..
1. 컴퓨터 바이러스(Computer Virus) 컴퓨터 바이러스는 대부분 바이러스라는 약어로 많이 사용되며, 정상적인 파일이나 부트영역을 침입하여 그 곳에 자신의 코드를 삽입하거나 감염시키는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 감염방법이나 기법, 동작원리등에 따라 부트 바이러스, 메모리 상주형 바이러스, 파일 바이러스, 덮어쓰기, 은폐형 등등 여러가지로 세분화 되어 나뉠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크게 정의만 내리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 바이러스는 컴퓨터 사용자 몰래 다른 파일(프로그램)에 자신을 복사하는 프로그램입니다. ======================================================= ..
방법 1 1. 파일 메뉴에서 열기를 누릅니다. 그런 다음 현재 폴더에서 손상된 파일이 있는 폴더를 찾고 취소를 누릅니다. 2. 파일 메뉴에서 새로 만들기를 누르고 통합 문서를 누른 다음 확인을 누릅니다. 3. 새 통합 문서의 A1 셀에 =File Name!A1을 입력합니다. 여기서 File Name은 손상된 통합 문서의 이름입니다. 시트 선택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적절한 시트를 선택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4. A1 셀을 선택하고 편집 메뉴에서 복사를 누릅니다. 그런 다음 손상된 파일의 데이터가 있는 셀의 범위와 거의 같은 크기의 영역을 선택하고 편집 메뉴에서 붙여넣기를 누릅니다. 5. 이 셀 범위가 여전히 선택된 상태에서 편집 메뉴의 복사를 누릅니다. 6. 편집 메뉴에서 선택하여 붙여넣기를 누릅니다. 값..